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CM의 정의/개념

by moneymakerchoi 2025. 3. 31.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에 대한 정의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 되어 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기업간의 파트너 쉽, 전략적 제휴 등을 바탕으로 통합 효율성을 추구하는 경영방식의로 통용되고 있다. 공급사슬관리는 고객서비스 수준을 만족시키면서 시스템 전반적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품이 적절한 수량으로, 적절한 장소에, 적절한 시간에 생산과 유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공급자, 제조업자, 창고보관업자, 소매상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데 이용되는 일련의 접근법이다. 또한 공급사슬관리는 기업이 관련을 맺고 있는 다른 외부기관들로 상호 공동으로 물류측면에서 고객에 대한 저비용과 고가치 서비스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물류관리협회에서는 SCM을 개별기업과 공급사슬의 장기적 성과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공급사슬 내의 기업 상호간 및 특정기업내의 경영 직능 상호간에 걸쳐 전통적 기업기능과 전술의 체계적, 전략적 조정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공급사슬관리는 서비스되는 시장에 대한 대응성 및 효율성의 최적의 믹스를 달성하기 위해 공급사슬에 참여하는 자들 사이에 행하는 생산. 재고, 입지, 운송 등의 조정을 의미한다. 아래 표에 CM의 시기별, 특성별 SCM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SCM의 개념

 

 

 

   

3. 공급사슬관리(SCM)의 주요기능  

 

공급사슬관리(SCM)의 기능은 크게 계획조달제조수주ㆍ출하부문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세부적으로는 재고관리수요관리능력 및 생산계획 조정수주관리물류관리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공급사슬관리(SCM)의 일반적인 기능들을 분류하여 정리하면 <>와 같다.

 

<> SCM의 주요기능

주요기능 세부기능 설명
계획 수요공급계획 ㆍ공급업체의 생산능력 및 부품의 조정
ㆍ전체 수요에 대한 우선순위 조정
ㆍ연월간생산계획 수립 및 조정
(현 재고판매능력장기 생산능력 검토)
ㆍ제품 기획 및 관리(수명수급 조절)
조달 부품 수배
   
부품조달
ㆍ수배검사보관인수
ㆍ공급업체의 생산능력부품의 품질
ㆍ공장 내 조달대금지불
제조 생산
   
생산지원
   
ㆍ부품의 발주 및 출하
ㆍ시제품 관리포장 및 부품 수불
ㆍ설계 변경생산현황 파악
ㆍ세부 생산 스케줄링설비관리품질관리
수주ㆍ
출하
수주관리
   
창고관리
   
운송 및 보관
물류지원
   
ㆍ수주입력과 수주배경
ㆍ고객관리제품관리대금관리
ㆍ고객별 출하(포장 포함)
ㆍ제품 출하(포장 포함)
ㆍ운송배차보관통관
ㆍ물류업무 관련
(관련업체간 제반 규정 및 원칙작성물품 품질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