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3 물류성과 관리 성과측정이란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 및 경영이익의 극대화를 위하여 조직성과 및 구성원의 팀 공헌도 향상을 측정하는 체계로써 비전, 전략 및 사업계획을 개인단위까지 연계시켜 기업이 나아갈 방향과 실행전략의 구체화를 도모하고, 경영목표 달성과정과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성과란 단순히 계획한 것을 실행했느냐의 업적뿐만 아니라 “개인이나 조직단위의 산출물이 상위조직의 성과에 어느 정도 기여했느냐‘의 성과목표 달성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다. 성과측정은 사업전략, 실행, 측정지표를 조정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구조를 지닌 전략적 통제시스템으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모든 조직에 대하여 유연하게 성과측정치를 적용하고 있으며 측정 결과는 모든 조직단위와 개인에 대하여 공정하고 적절한 보상체계로 .. 2025. 3. 31. 물류의 이론적 발전 물적유통으로 시작한 물류의 개념은 물류관리를 거쳐 공급망 관리로 발전했으며, 최근 IT업계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실시간(Realtime Enterprise)의 개념을 포용하면서 실시간 공급사슬관리로 발전하고 있다.SCM과 로지스틱스는 비용절감과 서비스 수준 향샹을 위해 시스템내의 각기 다른 구성요소간의 통합을 강조하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하지만 로지스틱스 관리는 주로 물류 특정기업의 물류 프로세스의 통합관리에 초점을 두는 반면 SCM은 공급체인내의 참여 기업 간 물류 프로세스의 통합관리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두 개념은 차이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전형적인 공급체인은 다음 그림 2-1>와 같이 고객과 소매업자 및 유통업자 그리고 제조업자를 포함한 복합의 원료공급자 등의 다양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2025. 3. 31. SCM과 로지스틱스 SCM과 로지스틱스는 비용절감과 서비스 수준 향샹을 위해 시스템내의 각기 다른 구성요소간의 통합을 강조하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하지만 로지스틱스 관리는 주로 물류 특정기업의 물류 프로세스의 통합관리에 초점을 두는 반면 SCM은 공급체인내의 참여 기업 간 물류 프로세스의 통합관리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두 개념은 차이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전형적인 공급체인은 다음 그림과 같이 고객과 소매업자 및 유통업자 그리고 제조업자를 포함한 복합의 원료공급자 등의 다양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물류개념이 Logistics로 확대되면서 Logistics는 원자재 조달에서 부터 공장생산물류, 판매물류, 반품, 회수물류까지 포함하는 기능이 되어 생산라인의 종단에서 완제품을 능률적으로 소비자에게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 .. 2025. 3.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