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측정이란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 및 경영이익의 극대화를 위하여 조직성과 및 구성원의 팀 공헌도 향상을 측정하는 체계로써 비전, 전략 및 사업계획을 개인단위까지 연계시켜 기업이 나아갈 방향과 실행전략의 구체화를 도모하고, 경영목표 달성과정과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성과란 단순히 계획한 것을 실행했느냐의 업적뿐만 아니라 “개인이나 조직단위의 산출물이 상위조직의 성과에 어느 정도 기여했느냐‘의 성과목표 달성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다. 성과측정은 사업전략, 실행, 측정지표를 조정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구조를 지닌 전략적 통제시스템으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모든 조직에 대하여 유연하게 성과측정치를 적용하고 있으며 측정 결과는 모든 조직단위와 개인에 대하여 공정하고 적절한 보상체계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물류성과측정은 기업의 물류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한 성과 또는 업적을 자사가 정한 일정한 측정지표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다. 물류분야에서의 성과측정은 물류비와 고객서비스간의 상충관계(Trade-off)분석과 수익성이나 시장점유율과 같은 기업 전체의 경영활동 성과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물류 성과 측정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물류성과측정의 다양한 측면과 성격의 분류방법이 활용되고 있어 각각의 연구에 제시되고 있는 성과차원의 조합들 중 어떠한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단언하기는 힘들다.
Bowersox et al.(2007)은 물류기업의 성과관리와 관련하여 비용관리, 자산관리, 생산성, 고객서비스, 품질 등 5개의 성과속성을 제시하고, 개별 성과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성과지표들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항상 개별 성과속성에 포함된 성과지표를 모두 측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피 평가기업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성과지표를 선정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개별 성과요소에 속한 성과지표들 간에 상관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지표 선정에 주의 깊은 검토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1] Shapiro(1986)는 자산관리, 비용, 생산성 등을 묶어서 원가절감전략 지표로, 고객 서비스 수준, 품질 등을 묶어서 차별화 전략 지표로 명명하고, 현대의 경우 원가절감 전략 지표보다는 차별화 전략 지표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추세임을 강조하였다.[2] Kearney(1984)는 물류기능의 평가를 생산성, 유용성, 성과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면서, 생산성은 실질적인 투입 대 산출의 비율로, 유용성은 사용가능한 능력에 대한 사용된 능력의 비율 그리고 성과는 기준산출에 비율로 측정하였다.[3] Sterling and Lambert(1985)는 물류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물류비용 측정기준으로서 재무적 요인과 고객서비스 측정기준으로서 비재무적 요인을 평가기준으로 하였다. 재무적 요인은 총비용분석, 단위당 비용, 매출액 대비 비용, 창고비, 일반관리비, 주문처리비, 직접노무비, 비용추세분석, 실제소요비용과 예산분석 등의 지표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비재무적인 요인에 대한 지표로서 주문 처리의 정확성, 품절의 감소, 반품율의 감소, 클레임의 감소, 이월주문량, 고객만족도 등을 활용하였다.[4]
기업의 경영성과는 단일의 성과측정치에 의해서 파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개별 성과측정치로 구성된 일단의 성과측정시스템에 의해 종합적으로 측정 보고되는 것으로 경영통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직의 업무수행과정 또는 업무결과를 적절하고 체계적으로 측정 보고할 수 있는 성과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최근까지 환경적인 관심의 대상은 제조 산업에 맞추고 있으며, 서비스 산업은 환경적인 영향이 덜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국제적인 협약, 정부의 녹색성장정책, 사회적인 인식의 확산으로 인하여 물류서비스 제공자들도 온실가스의 배출감소와 연료소비를 줄이는 환경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과거와는 다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물류 서비스의 변화는 경제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기업의 전략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Lin & Ho(2008)은 환경지향적인 물류관리는 기업이미지 개선과 더불어 시장영역의 확대 및 매출의 증가 등으로 이어진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지속 가능한 물류기업들은 이익을 추구함과 동시에 환경의 보호에도 앞장서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과거에 물류에서 환경의 문제는 사회적 책임이라는 커다란 주제의 일부분으로 인식되었으나 앞으로는 물류에서 직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가 환경적인 문제에 대한 대응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환경의 중요성과 더불어 녹색물류라는 하나의 영역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녹색물류란 물류 활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으로 광의로는 물류활동에 따른 대기환경에 대한 영향 뿐 만 아니라, 전통적인 순물류와 회수물류를 포괄하는 물류 활동이다. 그리고 협의로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화물자동차의 배출가스 저감정책 등 오염물질을 저감 관리하는 활동이다. [5]
위와 같이 물류분야에서의 성과관리는 단일 성과측정치가 아니라 물류비, 고객서비스, 수익성, 시장점유율 등과 같은 기업 전체의 경영활동 성과와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항목과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고려한 녹색물류 지표를 포함하여 성과관리를 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물류 #성과관리 #성과측정
'경영 > SCM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PL사업의 성공요인 (0) | 2025.03.31 |
---|---|
물류의 이론적 발전 (0) | 2025.03.31 |
SCM과 로지스틱스 (0) | 2025.03.31 |
제3자 물류 (0) | 2025.03.31 |
물류의 정의 (0) | 2025.03.31 |
공급사슬 통합의 개념 (0) | 2025.03.31 |
Malcolm Baldrige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