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과 로지스틱스는 비용절감과 서비스 수준 향샹을 위해 시스템내의 각기 다른 구성요소간의 통합을 강조하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하지만 로지스틱스 관리는 주로 물류 특정기업의 물류 프로세스의 통합관리에 초점을 두는 반면 SCM은 공급체인내의 참여 기업 간 물류 프로세스의 통합관리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두 개념은 차이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전형적인 공급체인은 다음 그림과 같이 고객과 소매업자 및 유통업자 그리고 제조업자를 포함한 복합의 원료공급자 등의 다양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물류개념이 Logistics로 확대되면서 Logistics는 원자재 조달에서 부터 공장생산물류, 판매물류, 반품, 회수물류까지 포함하는 기능이 되어 생산라인의 종단에서 완제품을 능률적으로 소비자에게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 원자재를 공급원천으로부터 생산라인의 시발점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활동을 말하며, 공급사슬이란 제품을 시장에 전달하기 위해 함께 일하고 조정하는 회사 공급네트워크를 말한다.
<그림> 공급사슬의 단계
자료: Sumil Chora Peter Mein Supply Chain Mangement, Prentice hall. Second
Edition, 2004. p.5.
전통적 물류는 그 관심을 조달, 유통, 보관, 재고관리 등과 같은 활동들에 초점을 맞춘 반면, 공급사슬관리는 전통적인 물류를 포함하여 마케팅, 시기별 개발, 금융, 고객서비스 등과 같은 활동을 포함한다.
효율적인 SCM은 공급사슬에서의 고객서비스 수준이나 회사의 내부적 운영 효율성 모두에 있어서의 동시적인 개선을 필요로 한다.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의 고객서비스는 지속적이고 높은 주문응답률, 짧은 적시의 높은 배달비율, 양질의 제품서비스, 고객만족의 아주 낮은 반품율 등을 의미하는데 공급사슬 관리의 관행에는 가장 기본적인 패턴이다. 각각 공급사슬은 자신만의 독특한 시장수요와 운영문제 등을 가지고 있다.
물류에서 SCM으로 발전 프로세스
구분 | 물류 | Logistics | SCM |
시기 | (1980~1990) 1970~1985 |
(1991~1997) 1986~1995 |
(1998~) 1998 |
목적 | 물류부문 내 효율화 | 기업 내 물류 효울화 | 공급사슬 전체 효율화 |
대상 | 운송, 보관, 하역, 포장 | 산업, 물류, 판매 | 공급자, Maker, 도소매 고객 |
수반기술 | 물류부문 내 시스템 기계화, 자동화 |
기업 내 정보 System POS, VAN, EDI |
파트너 십, ERP, SCM 기업간 정보 시스템 |
성과목표 | 효율화(전문화,분업화) | 물류비용+서비스 대행 다품종 소량, JIT, MRP |
ECR, ERP, 3PL, 재고절감, APS |
핵심주제 | 무인으로서 비전 | Total 물류 | 통합업무 시스템 |
자료: 이명호 전개서
공급사슬은 가치사슬과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가치사슬이란 사슬의 각 연결부분이 제품생산에 일정한 가치를 창출해야 되는 경영개념이며 어떤 부분이 가치를 제공하지 않으면 그 부분은 제거되어야 한다. 물품의 이동이 없는 가치사슬도 많이 있는데 이는 서비스 산업이다. 서비스산업에서는 물류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은 공급사슬이다. 그러나 여러 업체로 구성된 공급사슬과 한 조직에서의 공급사슬은 구분해야 한다.
공급사슬이 한 기업에 속할 경우에는 관련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작업이 완전히 한 기업의 통제 하에 있게 된다. 반면 업체 간 공급사슬은 이와 매우 달라서 각 조직은 자사에 해당하는 작업만을 통제하게 된다. 여기서 공급사슬은 기업 간의 상호 관계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SCM은 사슬의 각 연결부분이 보통은 독립적인 개별조직이기 때문에 각 조직은 자사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운영되므로 개별 독립조직들의 작업을 조율하는 일이 쉽지 않은 것이다.
공급사슬 전반에 가장 이익이 되는 일이 반드시 어느 한 조직에게도 최대한의 이익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사회과학에서 집단작업의 문제(collective action problem)라고 알려져 있으며, 공급사슬의 용어로는 네트워크 정의(network justice)의 문제로 불린다. 또한 한 기업이 자사의 고객과 자사의 공급업체를 고려하여 작업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일이다. 소위 채찍효과(bullwhip effect)라고 알려진 공급사슬의 통제성은 이러한 어려움을 잘 대변하고 있다
'경영 > SCM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성과 관리 (0) | 2025.03.31 |
---|---|
3PL사업의 성공요인 (0) | 2025.03.31 |
물류의 이론적 발전 (0) | 2025.03.31 |
제3자 물류 (0) | 2025.03.31 |
물류의 정의 (0) | 2025.03.31 |
공급사슬 통합의 개념 (0) | 2025.03.31 |
Malcolm Baldrige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