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스틱스는 물자와 서비스, 그리고 관련된 정보를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기점으로부터 소비자에게 효율적으로 이동하고 저장하기 위해 계획하고, 통제하는 과정으로서, 공급망 관리의 부분이다.
- 1992년, (CLM: Council of Logistics Management, 물류관리협회)
“물류란 생산단계에서부터 소비 또는 이용에 이르기 까지 상품의 이동 및 취급을 관리 하는 것이다.” 라고 정의하여 개별기업의 입장에서 재화의 이동과 취급에 따른 관리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 나.‚ 미국 물류관리 협회
(1967, NCPDM : National Council of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
“로지스틱스는 최종제품을 생산라인으로부터 소비자에게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원료를 공급원에서 생산라인의 시작까지,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는데 관련된 광범위한 활동을 묘사하는 것으로 제조나 상업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다. 미국 로지스틱스 관리협회(1985,CLM : Council of Logistics Management)
“로지스틱스는 소비자 욕구에 맞추기 위하여 출발전에서 소비지까지 원료, 반제품, 완제품, 그리고 관련정보를 효율적으로, 비용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고 저장하기 위해 계획, 실행, 관리하는 과정이다. 이 정의는 입고, 출고 내부와 외부 이동을 포함한다 .”
라. 일본 통계심의회의
“물류란 물리적 및 사회적인 물의 흐름에 관한 경제활동으로 물자유통과 정보유통이 포함된다”고 정의하고 있으며
여기서 물자란 유형. 무형을 불문하고 일체의 경제재를 가리킨다.
4. 물류에 대한 인식 변화
마케팅이 독립분야로 태동되면서 마케팅 학자들에 의해 물류가 마케팅의 한 분야로 포함되기도 했으나
마케팅의 물리적 측면은 큰 주목을 받지 못함.
생산과 판매위주의 시대로 기업이윤도 많아서 물류의 비효율성은 시장팽창으로 보상된 시대.
생산품을 최소의 비용으로 시장에 이동시키는 것이 물류의 주관심이었으며, 물류는 생산의 일부로 간주
석유위기, 인플레이션, 이자율 등의 영향으로 비용절감이 물류관리에 있어서 큰 관심사가 되었으며,
물류의 범위가 물자의 입고, 출고까지 포함하는 Logistics로 개념이 확대.
세계 교역량의 증대, 정보흐름의 폭발적 증대로 외부의 로지스틱스 관리(External Logistics)에 관심
Logistics를 공급망 관리의 부분으로 인식.
'경영 > SCM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성과 관리 (0) | 2025.03.31 |
---|---|
3PL사업의 성공요인 (0) | 2025.03.31 |
물류의 이론적 발전 (0) | 2025.03.31 |
SCM과 로지스틱스 (0) | 2025.03.31 |
제3자 물류 (0) | 2025.03.31 |
공급사슬 통합의 개념 (0) | 2025.03.31 |
Malcolm Baldrige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