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PL 서비스는 고객의 고도화된 물류니즈를 원천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화주의 니즈에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특별한 물류서비스 능력을 중심으로 핵심성공요인(CSF)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Bagchi & Mitra(2006)3PL 비즈니스의 핵심 성공요인으로 고객/사업맟춤형 서비스 3PL 수행경험, 자산에 대한 투자, IT시스템, 전문기술, Supply Chain의 통합능력, 서비스이 범위, 국제적인 네트워크, 3PL 관계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이들은 특히 IT시스템에 대한 투자, 전문기술, 고객/산업맞춤형 서비스 등이 성공적인 3PL 비즈니스를 위해 중요시 되어야 하는 요인으로 강조하고 있다.
Bowersox et al.(1988)은 물류협력에 있어서의 성공요인으로 유통경로 관점, 적절한 연계, 정보공유, 정확한 역할명시, 기본규칙의 확립, 탈퇴의 자유 등을 제시하고 있다.
Lambert et al.(1999)은 성공적인 3PL 비즈니스를 위해 화주와 물류기업 간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들은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위해 특히 공동 계획/운영관리, 원활한 커뮤트케이션, risk/gain sharing, 정확한 서면계약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결국 파트너 상호간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커뮤티케이션하느냐가 3PL 비즈니스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할 수 있는 핵심요소임을 의미한다.
한편, Saito(2005)는 3PL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물류기업이 갖추어야 할 요소로 수송수단이나 창고 등의 물류인프라와 관련된 하드웨어, WMS나 TMS 등의 정보시스템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물류컨설팅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과 작업 노하우를 갖춘 현장 운영인력 등의 휴먼웨어 등 세 가지 요소를 들고 있다. 그 외에도 Hum(2000),Bowman(1995), Frankel, et al,(1996) 등 많은 학자들에 의해 물류서비스의 성공요인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3PL CSF는 대체로 공통적인 특징을 지닌 5가지 능력으로 압출 될 수 있다.
[표 2-3] 3PL 비즈니스 핵심성공요인
핵심요인 | 주요내용 | 주요 연구자 |
물류 컨설팅 능력 | ㆍ물류체계의 개선 ㆍ사업부문별 전문가 확보 ㆍ전문인력 자체육성 ㆍ전문인력의 유지 |
ㆍHum(2000) ㆍGonzales(2003) ㆍKujawa(2003) ㆍBagchi & Mitra(2006) |
현장운영 능력 | ㆍ3PL 서비스 경험 ㆍ산업/고객 맞춤형 서비스 ㆍ우수한 서비스성과 지속 |
ㆍKonezny & Beskow(1999) ㆍHum(2000) ㆍBagchi & Mitra(2006) |
물류인프라활용 및 네트워크 구축능력 |
ㆍ필요한 물류인프라 확보 ㆍSupply Chain 및 물류네트 워크 구축 |
ㆍLangley, et al.(1998) ㆍBagchi & Mitra(2006) |
정보시스템 운영능력 |
ㆍ필요한 정보시스템 확보 ㆍ제공하는 정보의 질 ㆍ다른 파트너 시스템과의 연계성 |
ㆍRavi(2001) ㆍGonzales(2003) ㆍBagchi & Mitra(2006) |
커뮤니케이션 능력 | ㆍ 사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 ㆍ명확한 운영기준의 설정 ㆍ정보의 공유 ㆍ 내ㆍ외부 커뮤니케이션 ㆍ 신뢰성의 유지 ㆍ 최고경영층의 강력한 지원 ㆍ Gain Sharing/Risk Sharing |
ㆍBowersox, et. al.(1988) ㆍCooper, et al.(1988) ㆍBownam(1995) ㆍFrankel, et al.(1996) ㆍTate(1996) ㆍLambert et al.(1999) ㆍlangley et al.(2002) |
1) 물류컨설팅 능력
물류컨설팅 능력은 3PL 기업이 화주의 물류체계를 개선시키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3PL 기업은 화주의 현행 물류체계를 진단하여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화주는 복잡하고 다양한 3PL 니즈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3PL 기업을 요구하고 있다. 3PL 기업은 이러한 화주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결국 특정 산업분야의 전문가, 컨설팅, 또는 IT운영 등 영역별 전문인력을 위부로부터 확보하거나 자체적인 육성이 필요하다.
화주의 물류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기본적인 컨설턴트의 능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화주의 해당산업에 대한 지식 및 SCM 전반에 관한 문제해결 능력, ② 화주의 물류비 구조를 분석하여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능력, ③ 물류 프로세스 상에 서 물류 거점의 네트워크를 최적화 할 수 있는 능력, ④ 시물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개선 모형을 검증할 수 있는 능력
2) 현장운영 능력
3PL 서비스의 현장운영능력은 3PL 기업이 다양한 화주의 니즈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갖추어야 할 실행능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3PL 기업은 다양한 3PL 서비스 수행경험과 특정 산업 또는 화주를 중심으로 한 특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3PL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화주 자신들이 고객들에게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만 한다.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운영능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최적 물류 프로세스에 의한 기능별 운영 능력, ② 비용절감 및 운영 효율화를 위한 지속적인 물류 개선 능력, ③ 물류 네트워크 개선 및 활용 능력, ④ 현장 작업원 관리 능력, ⑤ 적기 공급 관리 능력, ⑥비상 상황 시 대처 능력, ⑦ 운송, 물류센터, 서비스 수준 등 관리지표의 지속적 평가 관리 능력
3) 물류인프로 활용 및 네트워크 구축능력
물류인프라의 활요 및 네트워크 구축능력은 화주가 요구하는 물류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3PL 기업이 이용할 물류자산과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축능력을 의미한다.
3PL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창고, 트럭, 또는 선박 등 필요한 물류자산을 적기에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는 3PL 기업의 물류자산을 이용함으로써 화주는 자신들의 물류자산 감축 효과를 볼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늘날 화주는 자신들의 원재료/부품 공급업자와 고객들에 이르는 전체 공급체인 상의 모든 기능을 효과적으로 통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정보의 질적 측면에서도 단순히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화주의 경영활동에 유용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화주의 다른 파트너(예를 들면, 원료/부품 공급업체, 고객기업, 또는 다른 물류아웃소싱 업체 등)들의 시스템에 대한 연계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3PL 비즈니스를 위한 정보시스템 운영능력은 다음과 같다. ① 정보시스템에 의한 물류관리의 통합화, ② Supply Chain 상의 물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Visibility, ③ 화주의 요구를 즉각 반영 할 수 있는 Variability, ④ 화주의 정보시스템과 원활한 Interface, ⑤ Supply Chain 상에서 물류 흐름을 최적화하는 Planning, ⑥ 정확한 비용과 실적관리를 위한 Measurability
5) 커뮤니케이션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화주 3PL 기업이 단순한 거래관계가 아닌 전력적인 파트너로서 서로를 인식하며 비즈니스를 영위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3PL 기업은 화주의 사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파트너관계에 있는 당사자들 사이에 맺어진 계약 사항에 대한 합리적인 조정 절차와 운영기준등을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파터너 간의 정보공유와 내ㆍ외부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때 성공적인 비즈니스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계약 당사자 상호간에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상호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화주의 입장에서는 외부기업인 3PL 기업에게 자신들의 사업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3PL 기업을 선호하게 된다. 따라서 3PL 기업은 화주의 신뢰를 지속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성공적인 3PL을 위해서는 3PL서비스의 활용에 대한 화주측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의도가 명확하고 이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화주와 3PL기업 간의 파트너십 관계를 통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이익(gain)이나 위험(risk)을 상호 공요 할 때 보다 성공적인 비즈니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3PL 비즈니스를 위해 구축하여야 할 커뮤니케이션 채널은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운영적 커뮤니케이션 측명느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측면: a) 최고 경영진 대 최고 경영진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구축, b) 상호간 기업문화의 이해와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의 공유 채널 구축, ②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측면: 최고경영층, 관리자, 현장작업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구축, ③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측면 : a) 상호간 기술, 자원 등을 조율하는 신뢰관계 채널 구축, b) 화주기업의 CRM(Customer Relation Management)을 3PL 기업이 이해하는 관계 채널 구축, ④ 운영적 커뮤니케이션 측면: a) SLA(Service Level Agreement, 서비스 수준 협약), b)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c) 핵심성과 지표에 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개선을 위한 정기적 의사소통 채널, d) 상호간 정보의 공유 및 정보보호를 위한 Security Guide Line 구축, e) 3PL 기업과 협력사간 의사소통 채널 구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경영 > SCM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성과 관리 (0) | 2025.03.31 |
---|---|
물류의 이론적 발전 (0) | 2025.03.31 |
SCM과 로지스틱스 (0) | 2025.03.31 |
제3자 물류 (0) | 2025.03.31 |
물류의 정의 (0) | 2025.03.31 |
공급사슬 통합의 개념 (0) | 2025.03.31 |
Malcolm Baldrige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