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SCM 물류

제3자 물류

by moneymakerchoi 2025. 3. 31.

 

3자 물류(3者物流: Third Party Logistics: TPL, 3PL)는 화주기업이 고객서비스 향상, 물류관련 비용의 절감, 물류활동에 대한 효율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공급사슬의 전체 혹은 일부를 특정의 전문 물류업자에게 위탁하는 것을 말한다. 즉 포장, 운송, 보관, 하역, 물류가공, 물류정보처리 등 일련의 공급사슬에서 요구되는 물류활동을 외부의 전문 물류업자에게 위탁함으로서 자사물류를 효율화 하는 방식이다.

3자 물류라는 용어는 1988년 미국물류관리협회(Council of Logistics Management : CLM)가 시행한화주를 대상으로 시행한 물류서비스 조사에서 제3자 제공자(The third-party provider)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함으로써 관심을 끌기 시작하였다. CLM에 의하면3자 물류란 물류채널 내의 다른 주체와 일시적이거나 장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대행자 또는 매개자를 의미하며, 화주와 단일 혹은 복수의 제3자 간에 일정기간 동안 일정비용으로 일정서비스를 상호합의 하여 수행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이를 계약물류(Contract logistics)라고 하였다.

한편, 1996년에 일본정부가 완성한 경제구조의 변혁과 창조 프로그램에서는

3자 물류는 화주에게 물류개혁을 제안하고, 포괄하여 물류업무를 부탁받는(受託)업무라고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화주가 제3자인 물류업체에 대해, ① 물류서비스 레벨의 향상, ② 물류비용의 감소, ③ 새로운 이익을 만들어내는 외부위탁(아웃소싱)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밖에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 제3자물류에 대한 개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3자 물류는 물류아웃소싱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3자 물류는 기업이 고객서비스 향상, 물류비 절감 등 물류활동을 효율화 할 수 있도록 공급사슬(supply chain)상의 기능 전체 혹은 일부를 대행ㆍ수행하는 경영활동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즉 포장, 운송, 보관, 하역, 물류가공, 물류정보처리 등 일련의 공급사슬에 요구되는 활동을 외부의 전문업체에게 위탁함으로써 자사의 물류룰 효율화하는 방식이다.

둘째, 3자 물류는 기업의 물류활동을 수행하는 주체를 기준으로 물류아웃소싱단계로 정의하기도 한다. 기업의 물류체계는 일반적으로 3단계로 구분되고 있다. 1단계는 자가물류체계(1자 물류 : 1PL)로서 기업이 사내에 물류 조직을 두고 물류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경우를 말하며, 2단계는 자회사 물류(2자 물류: 2PL)로서 이는 기업이 사내의 물률조직을 별도로 분리하여 자회사로 독립시키는 경우이며, 3단계가 바로 물류 아웃소싱체계(3자 물류:3PL)이다. , 3자 물류는 물류관리서비스 제공자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물류관리기능을 전문물류업체에게 아웃소싱하는 경영활동이라 볼 수 있다.

그림 물류활동 수행 주체의 관점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Third Party's Getting Bigger(Fourth Party Logistics)," WERC Newsletter, October, 1997.

셋째, 3자 물류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는 기업이 사내에서 직접 수행하던 물류업무를 외부의 물류업체에게 아웃소싱 한다는 관점이며, 둘째는 전문물류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해 물류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제고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관점이다.

또 다른 관점은 3PL 업무를 위탁이냐 수탁이냐 관점에 따라첫째는 기업이 사내에서 직접 수행하던 물류업무를 외부의 전문 물류업체에게 아웃소싱 한다는 관점의 3PL 위탁자 개념이며, 둘째는 전문물류업체입장에서 화주기업의 물류업무를 수주받아 수행하는 3PL 수탁자 개념의 의미가 되겠다. 이것은 긍정적인 측면에서 제3자 물류의 방향은 화주와 물류서비스 제공업체의 관계가 기존의 거래기반관계에서 파트너쉽관계로 발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미국에서 제3자 물류에 대한 개념은 단순히 외부 물류 전문가에게 물류활동을 아웃소싱 시키는 것에서 장기적인 관계를 중요시 여기는 방향으로 전개되어가고 있다. 현재 국내 3PL업체는 주문충족, 유통가공, 제품반송 같은 부가가치의 물류서비스업무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즉 제3자 물류의 개념은 기업의 물류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아웃소싱 하는 것으로서 물류전문업체의 기본적 서비스외의 복잡한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장기간에 걸친 상호 이익적 관계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겠다.

3자 물류는 기업내부에서 보조기능으로 수행되어오던 과거와는 달리 경쟁우위확보의 필요성,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고객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중요성, 핵심역량에 대한 집중, 리엔지니어링에 대한 전략전 가치 등 때문에 기존의 물류서비스와는 큰차이가 있음을 인식하여 제3자 물류는 기업 물류의 전부 또는 일부기능을 아웃소싱하여 제3자의 물류전문업체와 일정기간 동안 상호협력하에 물류를 수행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3자 물류에 대한 제정의

발표자(연도) 정의
미국물류관리협의회
(1988)
하주와 단일 혹은 복수의 제 3자간에 일정기간 동안 일정비용으로 일정서비스를 상호합의하에 수행하는 과정
Jon Africk/A.T. Kearney
(1996)
단일 물류서비스 공급자가 계약에 기초하여 복합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La Londe, Cooper
(1989)
로지스틱스 경로 상 다른 당사자와 단기적 또는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로지스틱스 경로내의 대리중개자
Lieb, Millen, Wassenhove
(1993)
전통적으로 기업의 한 조직 내에서 수행하여 오던 물류기능을 전체 물류과정 혹은 그 과정 중의 일부 물류활동을 제3자에 의해 수행토록 하는 것
일본 統合物流施策大 강
(1996)
하주에 대하여 물류개혁을 제안하고 포괄적으로 물류업무를 수탁하는 업무
Sink, Langley, Gibson
(1996)
하주기업에 의해 제공되거나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재고에 대한 소유권을 행사하지 않으면서 외부인에 의해 제공되는 복합적인 유통활동

 

 

'경영 > SCM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성과 관리  (0) 2025.03.31
3PL사업의 성공요인  (0) 2025.03.31
물류의 이론적 발전  (0) 2025.03.31
SCM과 로지스틱스  (0) 2025.03.31
물류의 정의  (0) 2025.03.31
공급사슬 통합의 개념  (0) 2025.03.31
Malcolm Baldrige  (0)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