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윤리경영

존슨앤존슨 윤리경영 사례2

by moneymakerchoi 2025. 3. 15.

(3) 존슨앤존슨의 윤리경영 교육

 

존슨앤존슨은 우리의 신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프로세스 리더십 교육이나 새로운 직원오리엔테이션에서 Credo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다. 교육내용은 Credo의 4가지 책임의식을 지키는 것으로 어느 한 곳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있게 Credo를 지키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다.

교육의 특징은 마지막 시간에 Case Study를 한다. 이때 가상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충돌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Credo를 중심에 둔 의사결정을 연습한다. 물론 정답은 없지만 Credo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어떤 결정을 하게 되는지 생각하게 하는 교육이다. 이 교육을 통해서 교육생들은 우리의 신조를 바탕으로 하는 의사결정프로세스는 어떤 대단한 프로세스가 아니라 지극히 상식적인 의사결정 프로세스지만 상식적인 의사결정이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표3-7] 존슨엔존슨 의사결정 프로세스

a. Recognize the moral issue
개인간에, 부서간에, 회사내에서 또는 지역사회에서 이해상충이 있는 지를 본다.
b. Review the Credo for guidance
우리의 신조에 이러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 있는지를 본다.
c. Review J&J policy for guidance
회사규정을 검토한 후 방안을 마련한다.
d. Examine the ethical issue
과연 우리의 신조에 얼마나 맞는지를 본다.
e. Test the alternative
여러관점 및 경로를 통하여 테스트를 해본다.
f. Make the decision
Credo를 중심에 둔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잇다.
g. Revisit and reflect on the decision
피드백을 받아서 윤리적 범위에서 반영한다.

자료: 신세계, 월간 신세계, 2006, p. 26.

 

(4) 평가 및 반영

 

매년 마다 전 직원이 참여하는 Credo Survey는 경영진 및 직원들이 우리의 신조가 살아있는 지침서가 되게 하는 프로세스이다. Credo Survey는 전 세게 직원들을 대상으로 2년에 한번 씩 ‘Credo Action Team'을 구성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 내용은 윤리경영을 하고 있는지, 직원을 존중하는지, Credo의 4가지 책임의식을 실행하고 있는지, 직원이 평가하는 리더십은 어떤지 등 이며, 조사항목은 160-170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redo Survey가 단지조직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는 데 아주 중요한 정보가 되고 있다.

또한 경영자들은 Survey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활동을 하고, 평가결과를 직원들과 공유하면서 Action plan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도 일 년 내내 일관되게 행해지고 있다. 한편 인사정책에 있어 기업윤리의 준수 여부가 핵심적인 판단 기준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으며, 인사고과에 30%를 반영하고 있다.

 

3) 존슨앤존슨의 윤리경영 특성

 

존슨앤존슨에는 기업윤리를 담당하는 별도의 조직이 없다. 그 이유는 초고경영자부터 직원에 이르기 까지 모두가 윤리담당자라는 생각에 별도의 윤리담당 부서를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인사담당 임원이 총괄하여 윤리경영을 인사정책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존슨앤존슨에서는 업무상 중요한 결정을 할 경우에는 ‘RED FACE TEST'를 하게 하고 있다. 이것은 임직원이 어떤 중요 사항을 결정된 사항을 가족에게 애기하거나 또는 결정된 내용이 신문에 발표된다고 해도 얼굴이 붉어지지 않을 수 있는가를 자문토록 하는 제도이다.

의사결정이 다소 지연되더라도 윤리적인 관점에서 대안을 충분히 검토하도록 하고 있어, 때로는 ‘시간을 끄는 기업(Time-Consuming Firms)'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이러한 비판은 감수할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 바로 존슨앤존슨의 윤리경영 문화이다. 존슨앤존슨은 윤리경영을 실천하면서도 지난 100여 년간 인수합병 및 신규투자 등을 통해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 왔다.

4) 우리의 신조 실천사례(타이레놀 사건)

 

타이레놀은 1970년대에 개발돼 당시 존슨앤존슨의 총매출 7%, 순이익의 17%를 차지하던 주력상품 이었다. 그런데 1982년에 시카고에서 누군가 타이레놀의 캡슐에 청산가리를 투입하였으며, 이를 복용한 8명이 사망하였고, 당시 용의자를 체포하지는 못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경찰조사결과 존슨앤존슨 공장에서 제품이 생산된 이후 캡슐에 청산가리를 투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존슨앤존슨은 즉각 소비자들에 대한 책임을 앞세운 자신들의 ‘신조’에 맞춰 대응방안을 마련했다. 즉각적으로 모든 제품을 수거하였고, 생산된 미국내의 2억4천만 달러에 해당하는 3천 1백만 병을 폐기하였다. 1달여 후에는 모든 타이레놀 캡슐제품을 시장에서 철수하였다. 또한 사건 발생 직후, 정부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하여, 조사 단계별로 모든 사항을 대중들에게 공개하였다.

1986년에도 뉴욕에서 한 여자가 청산가리가 투입된 타이레놀 캡슐을 복용하고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역시 제품이 공장에서 생산된 이후 누군가에 의하여 투입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처음 구입한 곳으로부터 얼마 떨어지지 않은 상점에서 또 하나의 손댄 흔적이 있는 제품을 발견되었다.

1986년에도 똑같이 정부기관과 긴밀히 협조하여 조사단계별로 모든 사항을 공개하였고, 이번에는 존슨앤존슨은 캡슐형태의 타이레놀 제품 판매중지에서 더 나아가 캡슐로 된 모든 처방이 필요 없는 약품의 판매까지 중지하였으며, 1982년과 같이 모든 타이레놀 캡슐제품을 시장에서 철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를 근원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존슨앤존슨은 캡슐로 만드는 제품을 취급하지 않게 되어 지금과 같은 정제 형태의 타이레놀을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타이레놀 사건은 그 당시 천문학적인 비용을 치렀지만 고객에 대한 책임의식을 행동으로 보여 줌에 따라 회사는 소비자로 부터 큰 신뢰를 얻게 되었고, 사건 이듬해인 1987년에 포춘지가 선정한 가장 존경받는 기업으로 선정도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타이레놀은 현재까지 미국시장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해열진통제로 살아남았고, 세계적으로 연간 15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는 존슨앤존슨의 주력상품으로 남아 있다.

한편 타이레놀 사건과 존슨앤존슨의 대응은 미국경제계 및 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는데, 기업윤리가 명목상의 신조가 아닌 위기관리 능력의 결정적인 요소로 부각되어, 비즈니스 스쿨들이 미래의 경영자들에게 기업윤리를 가르치기 위해서 기업윤리 과목을 개설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존슨앤존슨 #우리의 신조 #타이레놀

'경영 > 윤리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윤리경영 사례  (0) 2025.03.15
금호 윤리경영 사례  (0) 2025.03.15
포스코 윤리경영  (0) 2025.03.15
신세계 윤리경영 사례  (0) 2025.03.15
존슨앤존슨 윤리경영 사례연구 1  (0) 2025.03.15
IBM 윤리경영 사례  (0) 2025.03.15
GE 윤리경영 사례  (0) 2025.03.15
보험회사 윤리경영 특성  (3) 2025.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