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공급사슬 통합의 개념 1) 공급사슬 통합의 개념공급사슬의 통합이란 조직 내의 통합뿐 아니라 전방의 공급업자와 후방의 도매업자 및 최종고객까지의 통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은 수직적이라기보다는 물류적이라 할 수 있다. 즉, 공급체인을 소유한다거나 지배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정보를 통한 조직의 연계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뜻이다. 이와 같이, SCM은 내부의 기능적인 통합과 외부의 통합을 필요로 한다.내부적으로 SCM은 다른 기능적 영역과의 물류통합을 달성하기 위한 일을 포함한다. 외부적으로는, 거래상대방과 회사가 계획수립과 실행을 공동으로 하고 물류 성과를 서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그런데 이러한 통합은 일반적으로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기 어렵다. 먼저 기업의 기능단위별로 업무의 합리화와 정보망의 구축이 선행된 다음,.. 2025. 3. 31.
SCM의 정의/개념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에 대한 정의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 되어 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기업간의 파트너 쉽, 전략적 제휴 등을 바탕으로 통합 효율성을 추구하는 경영방식의로 통용되고 있다. 공급사슬관리는 고객서비스 수준을 만족시키면서 시스템 전반적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품이 적절한 수량으로, 적절한 장소에, 적절한 시간에 생산과 유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공급자, 제조업자, 창고ㆍ보관업자, 소매상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데 이용되는 일련의 접근법이다. 또한 공급사슬관리는 기업이 관련을 맺고 있는 다른 외부기관들로 상호 공동으로 물류측면에서 고객에 대한 저비용과 고가치 서비스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물류관리협회에서는 SCM을 개별기업.. 2025. 3. 31.
Malcolm Baldrige 1. Malcolm Baldrige2차대전 후 당시 미국의 경제상황은 최악의 상태에 빠졌었다. 무역수지 적자는 무려 1,700억 달러라는 사상 최악을 기록하였으며, 세계시장에서 미국제품은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본의 경제 및 상품경쟁력은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미국의 학계, 산업계 및 정부 지도자들은 일본의 경쟁력에 대해 다방면에 걸쳐 검토한 결과, 그들 경쟁력의 원천이 품질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미국에서도 일본의 데밍상과 같은 국가적 차원의 품질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1987년 레이건 대통령은 말콤 볼드리지 국가품질개선법인 Public Law 100-107를 제정하였다. 2. Malcolm Baldrige 목적 미국 기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 2025. 3. 31.
윤리경영 성과 기업의 윤리경영이 다각적으로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지배적인 학계의 의견이다. 그 대표적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종영과 요시하라(Lee&Yoshiara,1977)는 기업윤리 수준을 높이면 기업외부와 내부의 양 측면에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기업관리자의 윤리적 행동이 기업이미지 향상→ 고객의 충성도 향상→ 판매증가를 통하여 기업에게 장기적으로 이익을 창출한다는 순환과정과, 기업 관리자의 윤리적 행동이 종업원들의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제고시켜 작업능률 및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서 궁극적으로 기업이익을 창출하게 된다는 또 다른 순환과정으로 설명하였다.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그림2-1] 기업윤리 경영이익에 나타나 있다. 스탠윅(Stanwick, 1988) 등은 기업의.. 2025. 3. 31.
국ㆍ내외 보험회사의 윤리경영 비교 1. 국ㆍ내외 보험회사의 윤리경영 비교 앞서 6개 보험사의 윤리경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해외 3개사의 윤리경영 도입배경을 살펴보면, 영국기업인 Aviva와 Legal and General은 EU의 기업의 책임(Corporate Responsibility)에 대한 법제화 움직임에 그리고 미국기업인 Metlife의 경우는 통합윤리경영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IMS)을 갖춘 경우 판결 시 기업 형량이나 과징금이 감액 처분되기 때문에 도입하게 되었다. 반면에 한국의 보험회사들은 2000년 10월 준법감시인 설치 의무화에 따른 보험업법 개정으로 윤리경영을 도입하게 되었다. 따라서 윤리경영의 시스템이 기업이 속해있는 국가의 법제도에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또한.. 2025. 3. 31.
동부화재(DB) 윤리경영 1) 동부화재의 윤리경영 동부그룹은 1969년 ‘좋은 기업’을 경영이념으로 설립되었다. 동부그룹이 생각하는 좋은 기업이란 ①좋은 인재가 있는 기업 ②좋은 시대가 바뀌어도 항상 고객이 필요로 하고 만족을 느끼는 상품을 제공하는 기업 ③높은 이익을 충출하여 주주에게 높은 배당을 하는 기업 ④종업원에게 좋은 복지를 실시하는 기업 ⑤고객과 사회에 기여하는 기업이다. 이처럼 동부화재는 기업들이 ‘강한 기업(Strong Company)'를 지향하며 무조건적인 성장을 추구하던 시기부터 착한 기업과 좋은 기업을 경영의 이념으로 삼아 왔다. 동부화재는 윤리경영의 도입 동기는 ‘좋은 기업(Exellent Company)'라는 경영이념 아래 ’디지털 경영을 선도하는 고객만족 최고의 종합금융서비스 회사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 2025. 3. 31.